간호사

비뇨계통 (urinary system) 요약 01

비뇨계통 (urinary system) 요약 01

– 소변(urine, 요), 소변검사(U/A, urinalysis)

– 신장(kidney 2) – 요관(ureter 2) – 방광(bladder 1) – 요도(urethra 1)

1. 신장(kidney, nephr/o, renal)

1) 기능

➀ 혈액내의 노폐물을 소변(urine)으로 배출

➁ 소변 배출량을 조절하여 혈압을 조절

➂ 전해질 평형 유지

➃ 수소이온(H+) 배설하여 산-염기 평형조절

cf. 폐 : CO2배출해서 산-염기 조절

➄레닌(renin)방출;혈압조절

➅에리스로포이에틴 분비:적혈구 생성

2) 외부구조

➀ 한쌍의 후복막 장기, 강낭콩 모양, 길이 10cm, 무게 130g

➁ Rt. kidney가 약간 낮은 위치(∵liver)

➂ 신문(hilum)-혈관, 림프관, 신경, 요관 출입

3) 내부구조

➀ 피질(cortex):네프론

➁ 속질(medulla) : 신주(콩팥기둥) – 신추체(콩팥피라미드) – 신유두 – 신배(콩팥잔) – 신우(콩팥 깔대기,renal pelves) – 신문(hilum) – 요관(ureter)

4) 신장단위

➀ 네프론(nephron, 신원) : 100만개/1개 신장

사구체((glomerulus)-보우만주머니(Bowman’capsule)-세뇨관(renal tubule)

➁ 신소체(말피기 소체):사구체-보우만주머니, 피질

㉠ 사구체(glomerulus, 토리): 모세혈관 덩어리, 공모양, 실타래

㉡ 보우만 주머니(사구체주머니, 토리 주머니):여과

➂ 근위세뇨관 -> 헨레 고리(loop of Henle) -> 윈위세뇨관 -> 집합관(collecting tubule) -> 신유두 -> 신배 -> 신우

5) 신장의 혈관

➀ 혈관풍부, 1000~1200ml/1분, 심박출량의 1/4

➁ 신문(hilum) -> 신동맥(renal artery) -> 엽사이동맥(신추체) -> 궁상동맥(수질과 피질) -> 소엽사이동맥 -> 들세동맥(afferenarteriole) -> 사구체모세혈관 -> 날세동맥(efferent arteriole) -> 곧은혈관과 세관주위모세혈관 -> 소엽사이 정맥 -> 궁상정맥 -> 엽사이정맥 -> 신정맥(renal vein)

2. 요관

길이-25~28cm. 신장의 신우가 수축하면 요관의 연동운동으로 방광으로 소변이 이동

3. 방광

➀ 골반 치골결합 뒷면, 주머니

➁ 방광 뒤 : 남자-직장, 여자-자궁과 질(∴임신하면 자궁이 커져 방광을 압박함, 임신 후반기 빈뇨 발생)

➂ 용적 : 500~700ml, 방광근육 수축에 의해 배뇨

4. 요도

➀ 길이: 남자-20cm, 소변 배출&정액 배출로, 여자-3~4cm 항문과 가깝다(대장균 이 동, 요도염->방광염->신우신염 상행성감염)

➁ 연동운동으로 소변 배출

5. 비뇨기의 생리

1) 소변 분비(3가지 과정)

➀ 사구체 여과

➁ 세뇨관 재흡수

➂ 세뇨관 분비

2) 소변, 요, urine

➀ pH : 5.0~7.0(약산성) 비중 : 1.015~1.025(소변량이 많아지면 비중은 낮아진다)

➁ 소변량 : 1~1.8L/1일

➂ 소변 내용물 : 무기질(Na, Cl, Mg,인산염,황산염), 유기질( 요소, 요산, 크레아틴,암 모니아), 유로빌리노겐, 호르몬, 비타민

➃ 비정상 소변 내용물: 당, 단백질, 아세톤체

3) 사구체여과(glomerular filtration)

➀ 혈장 단백질외 모든 성분이 보우만주머니로 여과된다.

➁ 원동력 : 혈압(사구체 모세혈관 70)-혈장아교질 삼투압(25)-보우만공간내압(10)=35=여과압

➂ 사구체여과율(lomerular filtration rate,GFR)

㉠ 단위시간에 여과되는 혈장량, 125ml/1분

㉡ 신장이 1분 동안에 깨끗하게 걸러 주는 혈액량

㉢ 분자량이 큰 단백질, 적혈구는 사구체를 통과하지 못한다. (∴ 소변에 검출되지 않아야 됨)

㉣ 하루에 180L 여과해야 된다. 그라나 소변량은 1.8L, 다시 세뇨관에서 재흡수 된다.

4) 세뇨관 재흡수

➀ 근위세뇨관 : 포도당, 아미노산, Na, Cl 재흡수

➁ 원위세뇨관 : 호르몬 조절, 항이뇨호르몬-수분재흡수, 알도스테론-Na재흡수 촉진 &k+ 배설 증가, 중탄산이온 재흡수하여 산성화됨

5) 세뇨관 분비

파라아미노히푸르산, 페놀레드, 페니실린, 크레아티닌, 암모니아,히푸르산, K+이온

6. 배뇨

➀ 200~300ml 방광에 차면 요의 느낌, 방광 바깥 조임근 이완 -> 소변배출

➁ 배뇨반사 중추는 천수, 자율신경반사의 부교감 신경이 촉진

7. 신장의 체액조절

1) 산염기 평형 조절

➀ 체액(PH 7.35~7.45) 항상 조절-혈액, 폐, 신장

➁ 산증일 때 수소이온을 배출하여 소변을 산성화시킴

2) 체액량의 삼투압조절

➀ 섭취량>배설량 : 수분과잉, 수분섭취가 신장의 배설능력 초과 -> 부종(edema)

➁ 섭취량>배설량 : 수분섭취 부족, 신장의 조절능력 저하, 구토, 설사, 발한 -> 탈수 (dehydration)

➂ 부종 : 체내 삼투압이 저하 -> 항이뇨호르몬억제 -> 소변 많이 내보낸다

➃ 탈수 : 체내 삼투압이 높아짐. 심한 갈증 -> 항이뇨호르몬분비증가, 소변량 감소(농축 된 소변)

➄ 삼투압 조절 : Na, 알도스테론

yongss

Recent Posts

브렌트포드 vs 토트넘 경기 결과 (24-25 PL 24R)

브렌트포드 vs 토트넘 경기 결과 (24-25 PL 24R) https://yongtoyong.com/%EC%86%90%ED%9D%A5%EB%AF%BC-%EB%A6%AC%EA%B7%B8-7%ED%98%B8-%EB%8F%84%EC%9B%80-24-25-pl-24r/ https://yongtoyong.com/%EB%B8%8C%EB%A0%8C%ED%8A%B8%ED%8F%AC%EB%93%9C-vs-%ED%86%A0%ED%8A%B8%EB%84%98-%EC%84%A0%EB%B0%9C-%EB%9D%BC%EC%9D%B8%EC%97%85-24-25-pl-24r-%EC%86%90%ED%9D%A5%EB%AF%BC-%EC%84%A0%EB%B0%9C/

2개월 ago

손흥민 리그 7호 도움 (24-25 PL 24R)

손흥민 리그 7호 도움 (24-25 PL 24R) 영상 사진 리드를 쥔 토트넘은 승부를 원점으로 돌리려는…

2개월 ago

브렌트포드 vs 토트넘 선발 라인업 (24-25 PL 24R 손흥민 선발)

브렌트포드 vs 토트넘 선발 라인업 (24-25 PL 24R 손흥민 선발) 브렌트포드 선발 라인업 토트넘 선발 라인업

2개월 ago

손흥민 시즌 10호골 영상 사진 (호펜하임 vs 토트넘)

손흥민 시즌 10호골 영상 사진 (호펜하임 vs 토트넘 유로파리그 7차전) 영상 사진 후반 들어 호펜하임의 공세가…

2개월 ago

손흥민 시즌 9호골 영상 사진 (호펜하임 vs 토트넘)

손흥민 시즌 9호골 영상 사진 (호펜하임 vs 토트넘 유로파리그 7차전) 영상 사진 경기는 제임스 매디슨의 전반 초반…

2개월 ago

호펜하임 vs 토트넘 라인업 (유로파리그 리그 페이즈 7차전)

호펜하임 vs 토트넘 라인업 (유로파리그 리그 페이즈 7차전) 호펜하임 라인업 토트넘 라인업

2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