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재활간호 03 재활과정 재활간호중재 협동적 관리

재활간호 03 재활과정 재활간호중재 협동적 관리

재활간호 03 재활과정 재활간호중재 협동적 관리

3. 재활과정

1) 재활과정

(1) 사정 단계

– 환자의 현재 병력, 복용약물 및 진행 중인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환자의 주 호소, 과거병력, 가족력, 생활습관, 직업, 신체검진, 신체적 장애 정도와 특징

– 통증사정은 시각적상사통증척도, 숫자통증척도, 얼굴통증척도, 언어통증척도를 사용하여 측정

(2) 동기유발 단계

– 재활과정을 성공적으로 성취하려면 환자의 적극적인 동기유발이 필요하다.

(3) 재활중재 단계

– 활력 증상 유지, 이차적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계획(치료적 운동, 체위변경, 적절한 체위유지 등), 일상생활활동과 자가 간호, 장애 극복하기, 스트레스 관리 등

(4) 퇴원계획 단계

– 퇴원계획은 사정 단계 직후에 시작된다.

– 가족이나 지역사회와 긴밀한 접촉을 통해 파악한다.

(5) 추후관리 단계

– 추후관리가 되지 않으면 이차적 장애가 유발되고 습득한 일상생활활동 기능이 상실되거나 퇴행된다.

4. 재활간호중재

1) 체위 변경

– 적절한 체위 유지와 변경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므로 환자와 가족에게 적절한 체위 변경의 중요성과 체위 유지 및 변경방법 등을 교육하는 것은 중요하다.

–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하도록 함

– 편마비 환자는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눕는 것

2) 마사지

– 신경 및 근육계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혈액과 림프의 순환을 촉진

– 마사지의 효과 : 근육의 긴장 감소, 혈액과 림프순환의 증가, 심박동수와 혈압의 감소

– 적응증 : 신경손상, 관절염 등

– 금기증 : 악성 종양, 혈전성 정맥염, 전염성 질환, 화농성 피부염, 폐색적증 등

3) 욕창간호

– 욕창의 정의 : “뼈 돌출 부위나 의료기구 또는 기타 장치와 관련된 피부 및 피부 아래 연조직에 대한 국부적 손상“

– 체중을 지탱하는 뼈 돌출 부위와 피하지방이 적은 부위에 많이 발생한다.

– 욕창에 대한 간호중재 : 욕창 발생요인을 제거하여 욕창을 예방, 적절한 수분과 영양섭취, 2시간마다 체위 변경

– 기여요인 : 습기, 불량한 영양상태, 불결한 위생상태, 부동, 운동마비, 근육 위축, 빈혈, 연령, 감염 등

– 욕창의 감염으로 골수염, 화농성 관절염, 전신적 패혈증이 유발

– 오랫동안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대상자의 신체 일부분이 계속적인 압력으로 인해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켜 초래되는 피하조직의 손상상태

4) 배뇨간호

– 재활환자가 가지는 배뇨문제 : 요실금, 신경성방광 등

– 요실금

•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시에 소변이 새는 복압성 요실금

• 소변 마려운 느낌을 참지 못하고 화장실로 가는 도중 소변이 새는 절박성 요실금

• 계속 소변이 새는 지속성 요실금

– 배뇨장애 : 소변의 저장이나 배출 또는 두 가지 기능 모두에 지장이 있는 상태

(1) 배뇨근 과활동성/반사성방광

• 생활습관 교정 : 적절한 수분 섭취, 야간의 수분 섭취 제한, 규칙적 운동, 금연

• 시간제 배뇨방법(timed voiding) : 배뇨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하도록 함. 대개 2~3시간 간격으로 배뇨

• 방광훈련(bladder training) : 배뇨충동을 참도록 하여 점차 배뇨간격을 늘려 방광을 비우는 시간과 방광에 담을 수 있는 소변의 양을 늘림

요로감염 예방

Epidemiology (역학)
– 전체 감염의 40%
– 요도카테터와 관련된 감염이 전체 요로감염의 80%

Preventive measure (예방법 or 방지책)
– 무균적인 삽입
– 가능하면 빨리 중지
– 배액관은 여성 – 대퇴부 안쪽, 남자 – 복부 고정
– 소변백의 입구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 카테터가 자주 막혀 세척을 해야 유지가 되는 경우 카테터를 교환
– 뇨검사 채취시 주의사항 : 멸균주사기 사용
– 소벽백의 위치는 언제나 방광보다 낮게 유지

소벽채취
– 소독을 하고 멸균주사기를 사용해서 채취
– 소변통에 닿지 않게 채취

5) 배변간호

– 배변훈련의 목적 : 규칙적인 배변습관으로 변실금, 분변 매복(fecal impaction), 불규칙한 배변을 예방하는 것

– 간호계획을 세우기 위해 장 배설, 대변의 특성, 음식과 수분섭취, 활동 수준, 장음, 투약, 다른 사정 자료의 기록이 검토되어야 한다.

– 프라이버시 지켜져야 함

– 채소, 과일, 곡류를 섭취

6)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훈련

– 매일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가능한 한 스스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

(1) 일상생활활동 훈련의 원칙

• 사정

• 목표를 설정

• 방법 확인

• 필요한 동작의 근육 사용 권함

• 움직임을 증가시키는 동작을 선택

• 점차적으로 상세한 동작을 가능한 한 오래 하게 한다.

• 환자가 견딜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능한 오래한다.

• 반복

(2) 침상 훈련

– 일상생활활동의 가장 기초적인 훈련

– 환자 스스로 훈련하기가 어려우면 보조기구인 침대끈을 이용하여 실시

(3) 휠체어 훈련

– 휠체어를 이용하여 이동할 때 주의할 점

• 휠체어에 앉거나 내릴 때는 바퀴를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게 한다.

• 휠체어는 환자가 이동하기 좋은 쪽으로 놓아야 한다.

7) 보철기와 보조기 사용

– 신체를 지지 하고 바로 잡고 기형을 예방

– 보조기 관리를 위한 환자 교육 내용 : 보조기가 꼬였는지 자주 관찰

8) 피로에 대한 대처

5. 협동적 관리

1) 물리치료

(1) 열요법

– 생리적 효과 : 혈액순환 촉진과 진통

– 열을 적용하는 부위의 발적, 조직손상, 불편감 등을 자주 관찰

(2) 냉요법

– 혈관을 수축하고 대사활동을 저하시켜 순환혈류량을 감소시키고 출혈과 부종을 줄이며 통증이 경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3) 수 치료

– 따뜻한 환부나 전신을 침수하는 것이며 가볍게 치료적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