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쌍의 상염색체 + 1쌍의 성염색체 = 46개의 염색체
– 염색체 = DNA 분자로 구성되어 있음
– DNA(디옥시리보핵산) : 이중 나선구조
– 염기 : DNA 발판을 구성하는 각 조각. 반드시 A(아데닌) – T(티닌), G(구아닌) – C(시토닌) 결합
– 염기서열 : 네 가지 염기의 연결순서
– 염기가 어떤 순서로 연결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유전적인 특성이 달리짐
– 유전자 :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의 특정한 염기서열. 신체발달 및 행동발달에 대한 중요한 정보가 포함
– 상염색체는 남녀 각각 22쌍 + 23번째 성염색체 XY = 남성, XX = 여성
– 여성은 XX, 남성은 같은 X에 Y가 결합한 모양이므로 남성을 결정하는 것은 Y염색체
세포가 쪼개지면서 그 숫자를 늘리는 방식으로 증가하는 것
염색체가 스스로 복제하는 것
모세포와 동일한 유전정보를 가진 46개의 세포를 복제함
성장
체세포의 분열
모세포의 반인 23개의 염색체를 생성함
감수분열은 생식세포의 형성을 위해 필요
감수분열로 인해 만들어진 딸세포 : 정자, 난자
수정란 : 정자 23개, 난자 23개 = 46개의 염색체
– 유전자형: 개인이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실제 유전자
– 표현형 : 실제 유전인자 중 개인의 특성으로 관찰 및 측정이 가능한 형질
– 우성유전자 : 다른 유전자와 결합했을때 자신의 유전형을 표현하는 경우
– 열성유전자 : 다른 유전자와 결합했을때 표현되지 않는 경우
부모로부터 각각 물려받아 하나의 쌍을 이룬 유전자 중 우성 유전인자가 있을 때는 우성인자의 특성이 발현.
두 유전자가 모두 열성일 때는 열성인자가 발현.
– 정자와 난자가 수정되는 순간에 결정 : XX로 결합 = 여자, XY로 결합 = 남자
– 수정 시 XY:XX 비율 = 150:100, 출생 시 XY:XX 비율 = 106:100
– 임신 중 남아의 사산비율이 여아보다 높음 : 유전질환이 X염색체와 관련 있으므로 남성에게서 나타날 확률이 높다.
– 지능유전자도 X염색체와 관련
– 어머니의 지능이 100% 아이의 지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님
→ 유전적인 특성만이 한 사람의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아님
– 하나의 난자가 하나의 정자를 만나 수정된 수정란이 두개로 분리된 것
– 동일한 유전형질, 동일한 성으로 태어남
– 세계 출산수의 1/250
– 한개의 난소에서 난자가 두개 배출되거나 양쪽 난소에서 각각 하나씩 배출되어 각각 다른 정자와 수정될 때 태어남
– 유전형질이 다르므로 외모, 성별도 다를 수 있다.
– 전체 출산의 1/125를 차지
태아는 시간이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기관들이 만들어지고 움직이며 기능을 함
자궁 속에서 성장한 태아는 10개월이 지나면 완전한 생명체로써 탄생함
싹이 튼다는 의미로 생명이 시작되는 첫단계 (배종기) | 중요 기관들과 해부학적 구조들이 형성 | 모든 주요기관의 구조가 정교화되고 성장이 가속화 기능이 원활해짐 |
수정과 착상이 이루어짐
수정(fertilization) : 정자가 난자의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면 정자의 핵과 난자의 핵이 만나 46개의 염색체를 가진 단일세포 형성
여성 : 200여만 개의 난모세포를 가지고 출생. 이후 소멸하기 시작 → 사춘기 4만여개만 남음
난모세포 : 배란 직전 감수분열을 일으켜서 난자가 됨
생리주기마다 하나의 난모세포 분열시켜 난자를 만듦. 난자가 되는 난모세포 400여개.
정자 : 생존기간 3~4일. 이 기간 중 수정되지 않으면 죽음
임신 대비 비후된 자궁내막이 떨어져 나가면서 월경 시작
배란기 전후 질 속으로 사정된 정자의 수는 3~5억개
나팔관 근처까지 갈 수 있는 정자의 수 : 200마리 남짓
(나팔관까지 도착하는 시간 : 6시간, 생명력이 강한 정자만 진입 가능)
정자가 난자의 세포막을 뚫고 진입 : 46개의 염색체를 가진 단일세포 형성 → 수정란
착상(implantation) : 접합체가 자궁벽에 붙는 과정. 착상이 완전히 이루어지는데 약 일주일 걸림
– 배반포 : 수정란이 액체로 가득찬 구형의 세포로 변한 것
자궁외 임신이 발생하기도 함 : 자궁경부 임신, 난관 임신, 자궁각 임신, 난소 임신, 난관체 임신 등으로 분류 → 복간 내 과다출혈로 사망하기도 함
신체의 주요기관 형성되는 시기
배반포의 내세포 덩어리 → 세 개의 세포층 형성
배반포의 외세포 덩어리 → 태아 보호 지원해 주는 융모막, 양막, 탯줄, 태반을 형성
수정 약 2~3주 후 중추신경계 형성
3주 경 심장이 형성되어 뛰게 됨
4주 경 눈, 귀, 소화기관 형성, 척추 및 신경계 형성
5주 호흡기 계통 완성
7주 경 생식기가 형성, 근육이 빠르게 분화, 신경이 빠른 속도로 발달
신체기관들이 정교하게 성숙되는 시기
9주 – 딸꾹질을 포함한 무의식적인 반사
10주 – 성기의 외형차이 나타남
12주 – 태아의 성별 확실히 구분, 골수에서 혈액 생성, 눈 완성
4개월 말 – 태동 감지,머리카락 나기 시작, 머리보다 몸이 커짐
18주 – 소화기관 작용, 양수 삼키고 태변 배출
5개월 – 신경세포 거의 완성
7개월 – 지방 조직이 발달하면서 몸무게 증가 : 생존가능연령
8개월 말 – 꿈꾸고 어머니 목소리, 모국어, 친숙한 이야기 즐김, 지적기능 발달
출생 직전 – 태아의 움직임은 느려 지고, 머리를 아래로 향한 채 팔과 다리를 구부린 자세로 세상에 나올 준비를 함
태아의 길이 48cm,체중 3.4kg 정도
다운증후군 | 21번 염색체가 3개가 될 때 발견 IQ가 70 이하로 지능이 낮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심장, 호흡기질환 혹은 백혈병 등에 감염될 확률이 높음 다운증후군 발병률이 산모의 나이와 결정적인 관계 :산모 나이 ↑ → 다운증후군 발병 확률 ↑ |
X결함증후군 | X염색체가 구부러져 있거나 너무 가늘어서 나타나는 이상장애 다운증후군 다음으로 지적장애의 원인이 됨 유아자폐증 유발 여자아이에 비해 남자아이의 지적손상의 가능성 높음 |
터너증후군 | 성염색체 X0. 전체염색체수가 45개가 된 경우 지능이 낮고 키가 작음 언어지능은 정상이지만 공간지각능력은 평균이하인 경우가 많음 |
클라인펠터증후군 | 성염색체XXY. 47개 이상의 염색체가 나타남 성적으로는 남성이지만, 정소의 발육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정자 생산은 불가능함 지능저하. |
혈우병 | 혈액이 혈관밖으로 나와 일정시간이 경과해도 응고되지 않고 계속 출혈하는 증상 혈우병은 X염색체 열성 유전 남성 – 성염색체가XY, X염색체가 하나만 결함이어도 혈우병 형질이 발현 여성 – XX이기에 2개의 X염색체 중 1개에 결함이 있더라도 다른 X염색체가 보완. 혈우병이 거의 발병되지 않음. 부모에게 결함있는 X염색체를 각각 물려받은 딸의 경우 사산됨 (여성은 태어날 경우 정상이거나 보인자, 남성은 혈우병 발병) |
Rh동종면역 | Rh-를 가진 모체가 태아(Rh+)의 세포를 적으로 판단하여 이를 공격하는 항체를 형성 → 태아적아구증 Rh+인자는 우성유전자 임산부(Rh-) + 남편(Rh+) → 신생아(Rh+) → 임신 8개월, 출산 직후 면역글로불린주사 : 산모에게 태아용혈성질환이 생기지않도록 예방 |
어머니의 음주와 흡연 : 알코올 태아증후군 유아 돌연사증후군
어머니의 약물 복용
어머니의 질병
어머니의 영양
어머니의 정서
스트레스, 불안
아버지의 영향
아버지의 흡연, 알코올중독 또는 마약중독, 환경 독극물에 대한 노출
기타 요인
방사능, 살충제, 중금속
낙태죄 폐지 찬성: 여성의 자기결정권 보장.주로 여성계
낙태죄 폐지 반대: 임신중인 태아도 생명이므로 인간의 생명권 보장. 주로 종교계
브렌트포드 vs 토트넘 경기 결과 (24-25 PL 24R) https://yongtoyong.com/%EC%86%90%ED%9D%A5%EB%AF%BC-%EB%A6%AC%EA%B7%B8-7%ED%98%B8-%EB%8F%84%EC%9B%80-24-25-pl-24r/ https://yongtoyong.com/%EB%B8%8C%EB%A0%8C%ED%8A%B8%ED%8F%AC%EB%93%9C-vs-%ED%86%A0%ED%8A%B8%EB%84%98-%EC%84%A0%EB%B0%9C-%EB%9D%BC%EC%9D%B8%EC%97%85-24-25-pl-24r-%EC%86%90%ED%9D%A5%EB%AF%BC-%EC%84%A0%EB%B0%9C/
브렌트포드 vs 토트넘 선발 라인업 (24-25 PL 24R 손흥민 선발) 브렌트포드 선발 라인업 토트넘 선발 라인업
손흥민 시즌 10호골 영상 사진 (호펜하임 vs 토트넘 유로파리그 7차전) 영상 사진 후반 들어 호펜하임의 공세가…
손흥민 시즌 9호골 영상 사진 (호펜하임 vs 토트넘 유로파리그 7차전) 영상 사진 경기는 제임스 매디슨의 전반 초반…